본문 바로가기
세계사

대전 후 미국의 대중 정책

by 바스통 2021. 6. 30.
728x90

 

 대전 직후 입안 된 극동 전략에서 미국 워싱턴은 과거 서구 열강들이 중국에 진출하여 영향력을 행사했던 전례에 비춰 소련 또한 중국 내에 진출하여 태평양으로 진출할 길을 찾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미국은 도서방위선 밖에 있는 중국을 놓고 직접적으로 소련과 충돌하기 보다는 어느 단일 민족주의 세력이 중국을 통일하여 소련의 남하를 막는 완충지대 역할을 해주기를 바랬다. 이런 입장에 있는 미국에게 중국을 통일하는 세력이 국민당이냐? 공산당이냐?는 문제가 아니었다. 단지 중국을 통일하는 세력과 전략적 제휴 관계를 유지하면 될 일이었다. 미국에게 있어서 국민당은 단지 교섭 대상 중 하나에 지나지 않았으며, 미국에게 있어 최상의 상황은 국-공이 합작하여 중국을 조속히 안정화 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런 워싱턴의 의중은 1945년 3월에 삼부조정위원회에 국무부가 전달한 미국의 전후 대중 정책 보고서에 잘 들어내고 있다. 해당 보고서에는 미국의 "대중 정책 목표"를 포함하여 국민당 정부에 대한 부패성과 중국 공산당 세력 등 국민당 정부에 반하는 반체제 세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이른 시일 내에 장제스 정부의 전복이나 혹은 국공 내전의 발발 가능성을 경고하였다. 

 

 이 국무부 보고서에 대해 위원회는 이에 동의하면서 같은 해 5월 승인하게 된다. 이와 함께 내전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국민당 정부가 "확실한 정치적, 경제적 필요조건"을 충족하기 전까지 전후 중국 국민당군의 재건을 지원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전후 대중 군사원조에 있어서도 철저하게 미국의 무기 통제 정책 하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못 박게 되었다.

 

 이 결정을 근거로 미합참은 8월 10일 중국 전구에 중국 내 일본군 항복을 받기 위한 기본 지침을 하달하게 된다. 해당 지침은 원칙적으로 "미국은 동족상잔의 전쟁에서 중국 국민당 정부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강조하였다. 즉 '국민당 정부의 일본군 중요 점령지 수복과 무장 해제 및 일본인 본토 송환 이외에 군사작전에 대해 지원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이었는데 이는 워싱턴이 중국의 복잡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중국 전구 사령부의 반발을 불러왔다.

 

  중국 전구는 "200만 중국 주둔 일본군의 저항"과 "중공군이 내전을 발발 시킬 위험성"을 지적하였는데 특히 중공군이 일본군 주요 거점들을 선점하려고 하는 점에 대해서 극도로 우려하였다. 국민당군이 일본군에 대한 무장 해제와 거점 점령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중공군은 이미 중요 지역에 대해 포위하거나 통제하고 있으며, 국민당군의 접수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에 적시에 중요지역으로 국민당군이 도달하여 통제권을 장악하기 위해선 미국의 군사적 원조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고 이를 위해 합참을 상대로 군사적 원조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합참은 8월 19일 태평양 사령부와 7함대 그리고 중국 전구 사령부를 불러 중국 내 주요 항구와 통신 거점들을 점령할 미군의 작전 계획을 논의 하였다. 그 결과 중국 전구 사령부 예하로 미해병대 제3상륙군단이 배속되어 이들을 중국 북부 지역에 상륙 시킨다는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1해병사단과 제6해병사단을 주축으로 항공대를 포함하여 5만의 병력이 중국 텐진과 칭다오에 상륙하게 되었다. 이들의 임무는 일본군민의 본토 송환 지원 및 국민당군의 중국 북부 지역 탈환을 제한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이는 전후 미국이 극동 내에서 소련의 확장을 저지하기 위한 첫 군사작전이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