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82 공수사단장(82nd Airborne Division) 제임스 마우리스 가빈(James Maurice Gavin) 소장(Major General)(1907년 3월 22일 – 1990년 2월 23일).
"낙하하는 짐(Jumpin Jim)"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가빈 소장은 백엽무공훈장(Distinguished Service Cross with Oak Leaf Cluster), 무공훈장(Distinguished Service Medal), 은성무공과 부상(Silver Star and the Purple Heart)훈장 수상자이며, 1945년 3월 21일 몽고메리 원수(Field Marshal Montgomery)로부터 영국 유공지휘관훈장을 수상했다.
바스토뉴를 포위한 독일 5 기갑군의 항복요구에 '멍청이들(Nuts)'이라는 답장을 보내 유명해진 101 공수사단 부사단장 앤쏘니 클레멘트 매컬리피(Anthony Clement 'Nuts' McAuliffe) 준장
101 공수사단(101st Airborne Division) 506 낙하산병연대 3 대대(3rd Battalion) G 중대(G Company) 짐 "피 위" 마틴(Jim "Pee Wee" Martin)
101 공수사단(101st Airborne Division) 506 낙하산병연대 제임스 엘버트 맥니스(James Elbert "Jake" McNiece)(1919년 5월 24일 – 2013년 1월 21일)
수송기 탑승을 위해 군장을 꾸리는 미군 공수부대원(airborne-infantry)
훈련준비를 끝마친 미군 509 낙하산병연대(509th troopers) 병사들. 509 연대는 당시 영국군 1 공수사단에 속해 있었다.
1944년 6월 5일 저녁 노르망디에 강하하기 위해 집결한 미군 101 공수사단(101st Airborne Division) 502 낙하산병연대(502nd Parachute Infantry Regiment) 2 대대 E 중대원들을 격려하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장군. 이들중 대대수는 수시간 후 노르망디에서 전사하거나 부상당했다. 502 연대는 6월 6일 792명이 노르망디에 낙하했으며, 6일간의 치열한 전투후 6월 12일 생 콤 뒤 몽(St. Come-du-Mount)으로 진격하는 노상에는 129명만 남아있었다.
'War Paint' 1944년 6월 5일 101 공수사단 "Screaming Eagles" 506 낙하산병연대 소속의 캘리포니아 세인트 산 페드로 출신 찰스 R. 플라우도(Charles R. Plaudo) 일병의 인디언(Indians) 위장에 마무리 터치를 해주는 미네아폴리스(Minneapolis) 출신 클래런스 C. 웨어(Clarence C. Ware) 일병.
1944년 6월 5일과 6일 사이에 프랑스 노르망디 낙하작전인 미션 알바니(Mission Albany)를 수행하기 위해 영국 비행장을 출발하는 미군 공수부대원들. 이날은 미군 공수부대원들에게는 절대 잊을 수 없는 날이 되었다. 연합군의 노르망디 해안(Normandy beaches) 상륙 5시간전까지 2,000명의 미군 낙하산부대원들이 독일군 전선 후방으로 낙하했다.
1944년 6월 5일 저녁 C-47 수송기 "다코타(Dakota)"에 오르기전 개인장비를 점검하는 101 공수사단 506 낙하산병연대(506 Parachute Infantry Regiment) 3 대대장 로버트 월버톤(Robert Wolverton) 중령.
1944년 6월 5일 저녁 영국군 유포터리 비행장(RAF Upottery Airfield)을 출발하는 C-47 수송기에 완전무장하고 탑승한 101 공수부대(101st Airborne) 506 낙하산병연대, 2대대 F중대 병사들.
좌에서 우로 윌리엄 G. 올라니(William G. Olanie), 프랭크 D. 그리핀(Frank D. Griffin), 로버트 J. 밥 누디(Robert J. "Bob" Noody), 레스터 T. 헤글랜드(Lester T. Hegland). 로버트 밥 누디는 M-1 소총과, 60mm 바주카(bazooka), 3발의 로켓탄, 지뢰(land mines)와 개인장비를 포함해 엄청난 무게의 장비를 소지하고 낙하했다.
1944년 6월 점프신호인 초록등(green light)이 켜지길 기다리는 공수부대원들(Airborne troops). 프랑스 해안에 낀 안개와 독일군 고사포 공격으로 82 공수사단과 101 공수사단 병사들은 낙하지점을 놓치고 해안 전역에 산개해서 낙하할 수 밖에 없었다.
노르망디에 낙하한 직후 사단사령부 앞에선 101 공수사단 부사단장 앤쏘니 클레멘트 매컬리피(Anthony Clement McAuliffe) 준장
지상에 낙하후 재집결한 101 공수사단(101st Airborne) 장교
1944년 6월 6일(d-day) 노르망디에 강하한 후 공수부대용 대검으로 레이션(rations)을 먹고 있는 82 공수사단(82nd Airborne) 병사(Paratrooper).
1944년 6월 7일 셍 메르 에글리즈(Ste. Mere-Eglise) 이정표 아래에서 독일군의 발터 권총을 들고 쉬고 있는 82 공수사단(82nd Airborne Division) "올 아메리칸(All Américan)" 엘머 W. 합스(Elmer.W. Habbs).
1944년 6월 7일 전사(KIA)한 82 공수사단 병사의 시신
1944년 6월 8일 노르망디(Normandy) 낙하 2일째 독일군 차량에서 항공식별용 나찌 깃발(Nazi vehicle air identification sign)을 노획한 101 공수사단(101st Airborne troops) 병사들.
1944년 6월 8일 노르망디 생 콤 뒤 몽(St. Come du Mont)을 가리키는 이정표(D913) 앞에 서있는 101 공수사단(101st US Airborne Division) 506 낙하산병연대(506th Parachute Infantry Regiment) 지휘부 존 H. 리더(John H. Reeder) 대위.
노르망디(Normandy) 아고빌 오 플랑(angoville au plains)에서 휴식중인 101 공수사단(101st Airborne Division) 506 낙하산병연대(506th Parachute Infantry Regiment) 병사들.
밴드 오브 브라더스(Band of Brothers)의 실제 주인공들. 노르망디 셍-마리-뒤-몽(Sainte-Marie-du-Mont)에서 촬영된 101 공수사단(101st Airborne Division) 506 낙하산병연대(506th Parachute Infantry Regiment) 2 대대(2nd Battalion) 이지 중대(Easy Company) 병사들.
밴드 오브 브라더스의 실제 주인공. E 중대장(Easy Company) 로버트 버 스미스(Robert Burr Smith) 중령(Lieutenant Colonel) (1924년 5월 2일 - 1983년 1월 7일)
레스터 하시(Lester Hashey) 일병의 실제 주인공. 이지중대(Easy Company) 은성무공훈장 수상자 우드로우 W. 로빈슨(Woodrow W. Robbins)
이지중대원(Easy Company) 크랜시 리올(Clancy Lyall)과 에드워드 조셉 조인트(Edward Joseph "Eddie" Joint)
이지중대원(Easy Company) 린 데이비스 "벅" 콤튼(Lynn Davis "Buck" Compton)(1921년 12월 31 – 2012년 2월 25일)
1944년 6월 17일 노르망디에 낙하한뒤 독일군에 포로로 잡혔다가 오글란데(Orglandes)에서 미군 9사단과 90 사단 병사들에게 구출된 82 공수사단 508 낙하산병연대 3 대대 의무병(Medic) 브라이언드 N. 뷰딘(Briand N. Beaudin) 중위와 폴 E. 레만(Paul E. Lehman) 소위. 이들의 군복에는 82 공수사단 "올 어메리칸(All American)" 마크가 제거되어 있고, 로드 아일랜드 출신인 뷰딘(Beaudin)은 독일군 장교모를 워싱턴 DC 출신인 레만(Lehman)은 나찌 깃발을 짧았던 포로생활의 기념품으로 소지하고 있다.
1944년 9월 17일 마켓가든 작전(Operation Market Garden) 참가하기 위해 비행장으로 이동하는 82 공수사단(82nd Airborne Division) 병사들
비행장에서 작전 브리핑을 받고 있는 82 공수사단 병사들. 마켓가든 작전은 참담한 실패작으로 끝나게 된다.
수송기에 탑승하는 82 공수사단(82nd Airborne Division) 병사들
9월 17일 오후 네덜란드 흐라베에 강하하는 82 공수사단 병사들. 6월 6일의 노르망디에서의 강하와는 달리 모든 부대원들이 목표지점 1km내에 정확하게 강하했다.
성조기를 흔드는 네덜란드 여성과 남성의 환호를 받으며 네이메헨으로 진격하는 82 공수부대 병사들. 9월 25일 영국 1 공수사단이 아른헴에서 1,485명의 사망자와 6,414명의 포로를 남기고 퇴각함에 따라 82 공수사단도 네이메헨에서 철수했으며 마켓가든 작전기간 1,43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101 공수사단은 2,1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연합군은 총 16,805명의 공수부대원들을 잃었다. 독일군은 약 8,000명 정도의 손실을 입어 마켓가든작전은 연합군의 완전한 패배로 종결됐다.
1944년 9월 네덜란드 나막신을 기념품으로 수집한 프랭크 퍼콘테(Frank Perconte) 일병
1944년 12월 아르덴느(Ardennes) 생비트에서 벌지전투(Battle of the Bulge)에 참가한 82 공수사단(82nd Airborne Division) 병사들.
생비트(Saint-Vith) 외곽에서 독일군과 전투중인 82 공수사단 병사들
1944년 12월 벌지전투(Battle of the Bulge) 도중 대화를 나누는 82 공수사단장 제임스 가빈(James Gavin) 소장과 우리에게 익숙한 미 8 군사령관 매튜 리지웨이(Matthew Ridgway) 장군. 리지웨이는 82 공수사단 "All Americans"의 초대 사단장이었다.
벌지전투(Battle of the Bulge)중 바스토뉴(Bastogne)에서 철모에 계란을 조리하는 101 공수사단(101st Airborne Division) 327 글라이더연대(327th Glider Infantry Regiment) 병사들
벌지전투(Battle of the Bulge)중 포위된 바스토뉴에서 커피를 만들기 위해 컵에 눈을 넣고 있는 101 공수사단 '스크리밍 이글(Screaming Eagle)' 병사.
밴드 오브 브라더스 실제 주인공. 1945년 1월 1일 바스토뉴(Bastogne) 북서부의 숲에서 독일군과 교전중인 이지중대 병사들
벌지(Bulge)전투직후 촬영된 101 공수사단 506 공수연대 1 대대장 로버트 "밥" 하윅(Robert "Bob" Harwick) 소령의 사진
1945년 3월 6일 쾰른시 콜로네 성당(Cologne Cathedral) 앞에서 미군 32 전차연대(32nd Armored Regt) E 중대 M-26 퍼싱전차에 의해 격파된 독일군 5호전차 판터(Panther)와 경고문(warning sign)을 읽고 있는 82 공수사단(82nd.Airborne Div) 루터 E. 보거( Luther E. Boger) 상병(Cpl).
1945년 3월 23일 버서티 작전(Operation Varsity) 개시전 인디언 모호크(mohawk)족 스타일로 면도하는 17 공수사단(17th Airborne Division) 513 낙하산병연대(513th PIR)의 젊은 공수부대원
1945년 3월 24일 연합군 최초로 라인 강(Rhine river) 북단에 강하한 뒤 뮌스터(Münster) 시내로 진군중인 17 공수사단(17th U.S. Airborne Division) 병사들.
1945년 3월 29일 5일간의 치열한 전투후 휴식중인 17 공수사단(17th Airborne Division) 507 낙하산병연대(507th Parachute Infantry Regiment) 병사들.
1943년 3월 29일 라인 강 북쪽 베스트팔리아(Westphalia)주 도르스텐(Dorsten)에서
영국군 6 근위장갑여단 처칠 탱크 전차병에게 담뱃불을 빌리는 미군 17 공수사단(17th Airborne Division) 공수부대원.
'전쟁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월 당시 한국군의 감염병 현황 및 원인 (0) | 2021.07.30 |
---|---|
파월한국군의 파병 전 감염병 예방 대처 (0) | 2021.07.09 |
제물포 영웅 만들기 (0) | 2021.05.27 |
일본의 1차 대전 군사 활동 (0) | 2021.05.21 |
맥아더의 한국전 초기 작전 계획 - 블루하트 계획 (0) | 2021.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