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7 PRCT(517th Parachute Regimental Combat Team) 본토~ 남프랑스 전역 약사
미본토
제517 공수 보병 연대는 1943년 3월 15일 조지아주 캠프 토코아에서 설립되었으며 이 연대는 제17공수사단에 배속되었다. 이후에 편성되는 460 공수 야전 포병 대대와 596 공수공병대대 C중대는 노스 캐놀라이나 주의 캠프 맥콜에서 창설되었다. 첫 연대장은 32세의 루이스 A 위시 주니어 대령으로 그는 토코아에서 있던 병기본 훈련기간 동안 각 병사들에게 개인화기에 전문가 수준의 숙달과 특등 사수 이상의 높은 사격 수준 요구하였다. 이후 포트베닝으로 이동하여 낙하산 교육을 받았으며 단 한명의 낙오자도 없이 이를 수학하였다. 재미있는 사실은 517 공수연대는 공수 훈련에서 M-1C 철모를 지급받아 훈련을 받은 최초의 연대로 기록되었던 것이다. 같은 해 8월 캠프 맥콜로 이동한 연대는 이곳에서 전술 훈련과 테스트를 병행하였고 그 다음 해인 1944년 2월 테네시 주로 이동하여 소위 '테네시 실험'(여단 전투단에 대한 효용 실험)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17 공수사단에서 나와 독립 여단으로써 활동하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연대는 루이스 A 위시 주니어 대령이 물러나고 제551 공수 대대를 지휘했던 루퍼스 D 그레이브 대령이 지휘하게 되었다.
이탈리아
5월 초 연대는 버지니아주 뉴 포트 뉴스(Newport News) 근처에 캠프 헨리 패트릭으로 이동한 후 5월 17일 승선하여 5월 31일 나폴리항에 도착하였다. 이후 나폴리 교외로 기차를 통해 이동하였는데 연대장은 곧바로 로마 공격에 참여하길 원했지만 소총을 제외한 물자들이 지급되지 않았던지라 실현되지 않았고 이후에 연대는 소위 "크레이터"("The Crater")로 불리는 곳으로 이동하였다. 이후의 시간 동안 장비들이 완편된 후 6월 14일 안지오로 이동한 후 이탈리아의 5군 4군단 예하 36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17일까지 도보와 차량 이동을 반복하여 그로세토(Grosseto) 남단에 도착하여 해당 지역을 인수 받고 다음날 사단의 그로세토 북쪽 지역 공격에 참여하였다.
공격은 아침 223번 도로를 타고 이동하던 중 1대대 선두가 모스코나 언덕(Moscona Hills)에 있던 독일군의 기관총 공격을 받아 고착되었으나 이후 2대대와 3대대가 81미리 박격포등을 동원하여 이를 격퇴하였다. 막 정오가 지난 시간 공격이 재개 되었지만 부대는 황야 지대에서 고착되었으며 밤동안 여기에서 대기하였다. 같은 시간 연대 동편에 있던 I중대는 독일군의 지뢰밭에서 기관총 사격을 받아 고립되었으며 밤이 된 후에야 구출 되었다.첫날 전투 동안 연대는 40~50명의 전사상자를 내었다. 19일 2대대가 몬테리오(Montesario)의 산 정상 마을을 점령하는 것을 시작으로 왼편의 3대대가 가벼운 저항을 뚫고 스테키노(Sticciano) 지역을 접수하고 14명의 포로를 잡았다. 이후 1대대는 몬테 페로소(Monte Peloso)를 점령하였고 이후 피오비노 계곡(Piombino Valley)을 가로질러 제147 보병연대와 접하게 되었고 24일 중포와 화기 엄호 아래 2대대가 폴로니카(Follonica) 동쪽 변두리에 진입하였다. 전투 기간동안 연대는 지속적으로 독일군을 압박하였으며 독일군은 미군이 압박을 가하는 동안 질서정연하게 후퇴하려 하였다. 6월 말에 연대는 4군단 예비로 전환되어 7월 초까지 대기하게 되었다.
연대는 7군의 요구로 남프랑스의 침공으로 진행될 모루 작전에서의 공수작전을 위해 이탈리아로 보내졌기 때문에 곧 전선을 이탈하였다. 7월 2일 모루 작전은 8월 15일 용기병이라는 작전명으로 진행이 결정 되었으며 이때문에 517연대는 4군에서 나와 로마 근교에 있는 제 1 연합공수사단에 배속된다. 사단에는 517연대를 비롯해 509 공수대대, 550 공수 글라이더대대와 551 연대 1대대 병력과 영국 제2 독립 공수여단이 배속 되었다. 추가로 총 413대의 C-47기가 구성 된 2개의 병력수송대가 영국에서 부터 오고 있었다.
용기병작전
D데이 H아워(상륙 개시 시간)는 8월 15일 0800으로 정해졌으며 517연대의 수송을 위해 180대의 수송기가 배정되어 4개의 제파로 강하할 계획이었다. 작전 통제는 8월 10일부터 시작되었고 이 시기에 전투단에는 지도와 생존 킷등이 지급되었다. 유도 신호는 아게(Agay)까지 레이더와 해군의 유도함으로 유도한 후 여기서 부터 460 m 고도로 내려간 후 125 mile/h의 속력으로 유지하며 패스파인더팀이 보내는 유도 신호와 불빛에 의해서 DZ로 유도 할 계획이었다. 8월 15일 0100 396대의 C-47 수송기들이 엔진을 켜고 10초 간격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패스파인더들은 DZ에 제대로 강하하지 못했으며 517연대 패스파인더팀의 강하는 0327에 실시 되었다. 같은 시각 라시오타(La Ciotat) 북쪽에서는 교란을 위해 300개의 더미 공수부대원들이 강하하였다. 517연대의 강하는 0430부터 시작되었다. 마지막 강하는 0453에 끝났으며 전 517 공수연대의 병력 중 약 20%만이 DZ에서 반경 3 km(2마일) 이내에 강하하였다.
그러나 연대 병사들은 강하 +3일 동안 독일군의 수송대를 공격하고 통신선을 차단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으며 독일군의 해안 진입을 지연시켰다. 그리고 르뮈(Le Muy) 레자크(Les Arcs) 라모트(La Motte) 드라기낭(Draguignan)등이 점령되었다. 그 후 뚜렛(Tourettes) 동편에 있던 병력이 영국 제2 독립 공수여단과 조우, 연결되면서 해안 근처 지역 방어에 있어서 독일의 증강되는 후속 병력을 압도하였다.
이 공수작전은 매우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데 18시간 내에 9099명의 병력과 213기의 포화기와 대전차화기 그리고 221대의 차량이 200마일(320 km) 거리를 날아 지중해를 건너 낙하산 혹은 글라이더를 통해서 적지에 강하하였다. 병력이 흩어져 있었음에도 48시간 내에 할당되었던 모든 임무가 달성되었으며 제1 연합 공수 부대의 손실는 560명 전사, 부상, 실종과 283명의 강하 사상자를 내었다. 517 공수 보병연대의 D+3 동안의 손실은 19명 전사 263명 부상이었다.
남프랑스
7군이 서쪽으로 움직이면서 제1 연합 공수 사단은 7군 주력이 론(Rhone)계곡을 통해 움직이는 동안 동쪽 측면을 방어하는 역활을 맡았다. 때문에 방어에 유리한 피이앙스(Fayence)-라 나풀(La Napoul) 선까지 이동하려 하였으며 517 연대는 해안선을 따라서 왼쪽에는 1SSF(영 제2독립 여단은 작전 후 이탈리아로 회군하고 1SSF으로 대체된다.)가 오른쪽에는 509/511공수가 있는 좁다란 지역을 할당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8월 21일 2대대와 3대대는 피이앙스(Fayence)와 칼리안(Callian)을 공격, 점령하게 되었다.
9월로 접어들면서 연대의 공격은 마리팀 알프스(Maritime Alps)부터 바다까지 확장된 독일군의 요새선에 의해서 둔화되었는데 독일군은 해안지역의 모든 요새들을 사수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9월 초에1대대는 460대대의 화력지원을 받으며 빠래트 카바(Peira Cava)를 압박하였고 2대대와 3대대가 이를 점령하였다. 9월의 나머지 기간은 빠래트 카바(Peira Cava) 주변을 방어하는 것으로 보냈는데 연대는 15마일(24 km)의 전선을 맡아 지뢰와 부비트랩을 이용해 이를 방어하였다.
소펠(Sospel)에 대한 공격은 계속되어서 중포사격에도 불구하고 지지부진하였는데 9월 29일 F중대 정찰대가 압박을 가하고 이후 B중대가 Agaisen산을 점령한 후에야 독일군은 철수하였다. 소펠(Sospel)에 대한 공격은 51일 이상 계속되었다. 이후 부대는 후퇴하는 적을 추격하였으며 전역은 1944년 11월 17일 종료되었으며 연대는 라콜(La Colle)까지 48km를 행진하였다. 이후 연대는 소속이 18공수군단으로 변경되어 12월 6일 연대는 라콜(La Colle)에서 기차로 앙티브(Antibes)로 이동하였다.
517 공수여단은 전투기간 동안 500명이 넘는 사상자와 102명이 넘는 전사자를 내었다. 이 전공으로 프랑스 정부는 1946년 7월 15일 연대에 프랑스 무공십자훈장 수여를 발표하였다.
실사진들
나 이거 많이봄 문서 수발해왔을 때
톰슨인지 정체모를 총...
출처: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517th_PRCT
517PRCT 전우회 http://www.517prct.org/table_of_contents.htm
오스프리 US army airborne 1940-90